: 웹 페이지에서 3D 객체를 쉽게 렌더링하도록 도와주는 자바스크리브 3D 라이브러리
3D 객체를 렌더링하기 위해 webGL
을 사용하지만 같은 것은 아니다.
webGL과 Three.js의 차이점
webGL
은 점, 선, 삼각형만을 그리는 시스템으로, 무언가를 직접 만들기 위해서는 많은 양의 코드를 필요로 한다.Three.js
는 이런 3D 요소들의 처리를 도와 직관적인 코드를 짤 수 있도록 돕는다.
Scene
과 Camera
객체를 넘겨 받아 카메라의 절두체 안에 3D 씬의 일부를 2차원 이미지로 렌더링 한다.
renderer
에는 다양한 메서드가 존재하며, 이것으로 cnavas
에 이미지 생성할 때 처리나 효과를 줄 수 있다.Scene
또는 다수의 Mesh
, Light
, Group
, Object3D
, Camera
로 이루어졌으며, 트리 구조와 유사하다.
Scene
은 씬 그래프의 최상위 노드로 배경색, fog 등의 요소를 포함한다.Material
로 하나의 Geometry
를 그리는 객체이다.
Material
, Geometry
는 재사용이 가능하며 여러개의 Mesh
가 하나의 Material
또는 Geometry
를 동시에 참조할 수 있다.three.js
에서는 몇 가지 내장 기하학 객체를 제공한다.Material
는 여러개의 Texture
를 사용할 수 있다. 기하학 객체의 표면을 이미지로 덮을 때 주로 사용한다.: webGL 기반의 자바스크립트 라이브러리 three.js
를 react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라이브러리
상태에 반응하고 쉽게 상호작용하며 React의 생태계에 참여할 수 있는 재사용 가능한 자체 구성 요소로 선언적 프로그래밍 방식이다.